안전자산 금의 하락, 달러가 상승하고 있다! (주요국 환율 상황 체크)
전승지 연구위원 (삼성선물) :
한주간동안 시장이 안정적이였다. 주가도 올랐고 금은 떨어지고 유가는 1월 이후 최고치를 찍었고 달러는 강세였다.
미국 실적이 좋았고, 백신이 순조로운 상황이다. 안전 자산이 힘을 잃고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미국의 강세 기대가 보이기 시작한다. 달러는 강했으나 다른 나라 환율은 좋지 않았다.
S&P 500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80만 이하로 내려오면서 경제 지표에 대한 긍적적인 부분을 나타냈고 연초에 테이퍼링 얘기나왔었는데, 올해 성장률이 5~6% 될 거 같다고 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되어도 테이퍼링 안 할 거라고 하여 시장이 안도를 하였다. 미국 금리가 상승 폭을 줄였고 금은 하락하였다.
섹터별 등락을 보게 되면, 에너지와 금융지가 강세를 보였다. 원자재 가격이 힘이 조금 빠진 상황이다. IT, 통신 등이 오르고 있다. 헬스케어는 강한 모습이 조금 없어진 모양이다. 바이오가 부진한 상황이다.
어제 애플이 많이 올랐고 CNBC 가 현대차와 애플차 협력이 거의 다 왔다고 보도를 해서 강세를 보였다. 알파벳하고 아마존 모두 실적을 발표했는데 알파벳은 최고치를 찍었다. 아마존은 많이 오르지 못했다. 밤 사이에는 이베이, 페이팔 등 주가가 많이 오르는 모양이였다. 백신 업체들은 좋지 않은 모습이였다. 게임스탑은 42% 다운이 되었다.
외환시장을 보겠다. 달러 지수가 1% 정도 상승을 하였다. 유로와 옌이 조금 약했다. 신흥국의 통화는 강했다. 안전자산들이 힘을 잃고 신흥국 통화가 좋은 상황이다. 영국이 백신 보급도 잘 되고 있고 하여 영국 통화가 나쁘지 않은 상황이다.
유가가 많이 올랐다. 또한 재고도 줄어들고 있다. OPEC 에서 감산하기로 하였다. 다른 원자재 가격들은 조정 국면에 들어서고 있다. 중국에 대한 긴축 우려가 되고 있고 춘절에 이동을 제한하면서 실수요에 대한 기대가 낮아졌다. 유가는 생산이 늘어날 여지가 있기에 상승폭은 어느정도 막혀있다고 보고 있다.
천연가스가 날씨와 수급에 민감하다고 하는데, 미국의 한파 떄문에 문제가 있어 상승을 했다고 한다.
미국에 대한 강세를 기대하고 있다고 한다. 제일 예민한 외환시장에서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블루웨이브가 되면서 강력하게 부양할 것이라는 기대, 백신이 잘 퍼지고 있어서 경기에 대한 기대가 큰 상황이다. 반면에 유럽이 백신 보급이 잘 안되고 있어서 미국이 좀 더 상승세가 더하고 있다. 작년에는 너무 공포에 있어서 격차에 신경을 안쓰고 있었다.
백신이 본격적으로 진행이 되고 있다. 백신 접종이 늘어나면서 일일 확진자가 줄어들고 있다. 이스라엘, UAE, 영국이 높은 상황이고 미국은 거의 10%까지 올라온 상황이다. 유럽은 보급 차질이 있는 상황이다. 일본도 보급의 차질이 있을 것 같아 이로인해 유럽과 일본의 엔화가 좋지 않은 상황이다. 백신 시나리오에 따라서 시장이 조금씩 바뀔 것 같다. 누가 빨리 보급을 하냐에 따라 통화 가치가 바뀔 것 같다. 집단 면역력을 70%까지 보는데, 미국은 초 여름에 집단 면역을 가질 것 같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집단면역이 된다면 우리는 조금 조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하이브리드 은에 대해 말해보겠다.
은이 안전자산이지만 산업재로도 쓰인다. 또한 위험자산의 가치도 가지고 있어서 하이 브리드 은이라고 표현을 한다.
은 가격이 많이 올랐고, 은 ETF 도 자금이 많이 유입이 되었다. 골드만삭스가 은에 대한 긍정적 보고서를 내면서 은에 대한 투자가 올라왔다. 태양광 패널에 들어가서 은을 좋게 보고 있다. 은은 최근 10년간 70.5배올랐다.
금값이 내려가고 있는 모습이다. 작년이 금이 모멘텀이 최고였다. 유동성과 공포에 따라 금에 대한 선호가 높아졌었다. 투자 할 수 있는 것이 금이 좋았는데, 물가 상승률은 따라 갈 수 있으나 정부가 어디에 돈을 투자할지 아는 상황에서 궂이 금을 투자해야 하는가를 생각해봐야한다.
-------------------------------------------------------
'경제 관련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번주 외국인 매수 상위주와 기관 매수 상위주는 무엇일까? (7) | 2021.02.06 |
---|---|
원자재 슈퍼사이클이 오고 있는 것인가? (금, 은, 곡물, 구리 등) (6) | 2021.02.05 |
국내 주요 호텔들이 매각이 되고 있다 (호텔 산업의 변화 시작) (4) | 2021.02.04 |
아마존과 구글의 주가는 더 올라갈 것이다 (금융 시장의 변화) (8) | 2021.02.04 |
SK 이노베이션의 주가는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10) | 2021.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