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이 계속 올라갈 수 밖에 상황이다! (파월 의장)
김일혁 팀장 (KB증권) :
이번에 연준에서 연설이 있었다.
의회로부터 법이 만들어졌고 연준이 만들어졌다. 연준은 이중 책무가 있다. 물가안정과 완전고용이다. 사실은 상충되는 것이다. 완전고용이 되면 물가는 올라가는 것인데 물가를 안정시켜야 하는 부분이다.
필립스 곡선을 보겠다. 이전에는 상당히 작동을 잘 하였다. 왼쪽 동그라미를 보면 고용시장이 좋았었고 빨간색 물가 지수가 올라가고 있다. 80년대 후반을 보면 고용시장이 좋아지니 물가 지수가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1990대 이후 실업률이 낮아져도 물가가 오르는 부분이 안 보인다. 물가가 위협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물가 안정, 완전고용을 연준이 목표로 가지고 있는데 물가가 생각보다 오르지 않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에는 2%를 넘는 적이 없다. 연준이 물가 보다는 완전 고용을 더 신경쓸 수 밖에 없는 지표이다. 돈을 저축하고 지키려는 부분 때문에, 물가가 오르는 것이 약화 되고 있는 부분이 있다.
연준의 무게중심은 완전고용에 있다. 지난주 파월 의장의 연설이였다. 사람들이 인플레이션이 올라가면 연준이 긴축 할 것 같다는 두려움이 있는 상황이기는 하나 완전 고용이 더 중요하다고 연설을 하였다.
이유에 대해 알아 보겠다.
팬데믹이 고용시장에 미친 부정적 영향이다. 금융위기 때보다 지금이 고용시장에 더 악영향을 미쳤다.
발표되어 나오는 실업률은 꾸준하게 내려와서 6.7 까지 내려왔다. 오류분을 반영 했더니 조금 더 올라갔다. 지금 경제활동 참가자수 감소분이 반영을 다 했을 때, 10% 정도이다. 지금 실업률이 절대적으로 좋은 상황이 아니고 갈일이 할일이 아직 많은 상황이다. 파월 연준 의장은 박사학위가 없는 분이고 변호사 분인데, 정치적으로 감각이 좋은 분이다. 현 정부에 파월의장이 얼마나 발을 잘 맞추고 있는 상황이다.
하위 계층의 팬데믹 충격이 큰 상황이다. 하위 계층 100명 중에 17명이 취업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불평등을 해소하는 것이 바이든이 얘기하는 것인데, 어떻게 할지 한번 지켜봐야 한다.
경기가 뜨거울 때, 하위 계층이 수혜를 많이 맞는 것을 볼 수 있다. 2008년 금융 위기 때, 충격이 굉장히 컸다. 하위 계층은 14년 정도 되서야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경기 확장기가 더 진행이 되어야 하위 계층이 제대로 수혜를 입는다. 경제가 뜨거워야 가장 자리에 있는 취약계층이 수혜를 입는다고 옐런 의장이 자주 언급을 하였었다. 지난주 파월 의장의 연설은 의미가 있고, 걱정을 많이 누그러 뜨리고 있는 상황이다. 인플레이션 율은 지금의 상황은 일시적이다 라고 표현을 하고 있다. 지레 겁먹을 필요가 없는 상황이다. 꼭 금리 상승이 주가에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트럼프 당시, 우리는 겪어 보았기 때문이다.
이전에는 한국 증시 시장을 외국인들이 많이 움직였는데, 돈을 조달해오는 미국, 유럽이였는데 미국의 재정정책 상황이 굉장히 중요했고, 연준의 영향도 굉장히 큰 상황이었다.
파월 의장 연설 이후, 시장에서는 긍정적으로 받아드렸다. 지금의 상승세는 심심해보일 수 있지만 시장은 안정적으로 오를 수는 있는 것이다. 꾸준하게 우상향으로 가는 게 안정적인 것인데 지금은 그렇게 가고 있다. 정책이 이렇다보니 바이든 대통령이 합동 연설이 있는데, 경기 민감 업종 쪽 상승 폭이 큰 상황이였다.
미국이 많이 안 오른 것처럼 보이는데 신고가를 경신하며 가는 상황이다. 현재는 내려가는 그림은 아니고 상승 추세는 아직 살아있다고 생각을 한다.
작년 9월초 이후부터 빅테크는 계속 옆으로 기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너무 오래쉬었다고 생각이 되었는지 1월부터 올라오고 있고 모멘텀은 사실 크지는 않는 상황이다. 바이든이 추가 부양책 준비하는데, 다음 단계로 준비하는게 친환경 인프라이다. 코로나가 끝나지도 않았는데 친환경 진행을 하고 있다. 미국에 인프라 투자는 많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 이에 미국 여러 부분에서 진행을 꼭 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계속 나오고 있다. 반중 여론을 이용해서 중국과 비교하여 인프라 투자를 속도를 낼 수도 있다.
-------------------------------------------------------
'경제 관련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오일이 더 오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 국내 주식 현황) (8) | 2021.02.16 |
---|---|
LG화학과 SK 이노베이션 소송 사건은 어떻게 되었나? (4) | 2021.02.15 |
2월 4일 정부 부동산 대책이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18) | 2021.02.09 |
미국 경기 부양책으로 인한 미국 주식은 어떻게 될 것인가? (4) | 2021.02.09 |
현대차, 기아차는 애플카 생산을 할 것인가? ( 현대차 공시 포함 ) (12) | 2021.02.08 |
댓글